ISO26262에 이어서 이번에는 ASPICE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ASPICE(Automotive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는 OEM이 자동차 SW를 개발하는 부품사(Tier 社)의 개발 프로세스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ISO26262와는 다르게 국제표준은 아니다.
ASPICE의 주요 내용은 프로세스 능력 평가를 지원하는 프로세스 측정 프레임워크인 ISO/IEC 33020과 프로세스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인 ISO/IEC 15504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ASPICE의 목적은 부품사의 개발 프로세스의 역량을 평가하고, 부품사의 품질 능력 향상하는 것이다.
그럼 ASPICE를 통해 평가를 할 때의 이점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향상된 소프트웨어 품질
ASPICE는 소프트웨어의 개발 프로세스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함으로써 비효율성을 식별/제거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의 결함과 오류 가능성을 줄임
향상된 효율성
조직이 ASPICE를 따름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간소화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유지 관리에 필요한 시간과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비용절감과 생산성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향상
업계 전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공통 언어와 기대치를 제공하여 부품사, 제조업체, 기타 이해 관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개선
고객 만족도 향상
ASPICE에 기반하여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향상된 품질과 신뢰성은 고객 만족도를 높여 브랜드 평판과 고객 충성도를 높일 수 있음
산업 표준 준수
ASPICE를 따르면 조직은 업계 표준 및 규정을 준수하여 고품질 소프트웨어를 개발 할 수 있고 제품의 안전과 신뢰성을 보장하려는 노력을 입증할 수 있다.
이어서 ASPICE의 3가지 핵심 구성요소를 순서대로 알아보자.
PRM(Process Reference Model)
ASPICE의 PRM은 공정 및 공정 간의 연관성을 정의하는데 각 공정은 이름, 주요 목적, 연관된 결과로 설명된다.
그리고 각 공정에서 관련 공정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지표로 고려되는 활동을 정의하는 특정 기초 사례를 지정하며 추가적으로 각 공정에는 특정 작업산출물이 존재한다. 이러한 작업 산출물이 있다는 것은 ASPICE에서 특정활동이 긍정적으로 완료된 것을 의미하며 총 32개의 공정을 3개의 범주 및 8개의 공정그룹으로 분류한다.
3개의 공정은 아래와 같으며 아래 이미지를 참조하자.
Primary Lifecycle Processes
조달 공정 그룹(고객 측), 공급 공정 그룹(공급업체 측),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수준에서 제품 사양, 설계, 개발, 통합, 테스트에 필요한 공학 공정으로 구성
Organizational Lifecycle Processes
관리, 재사용, 공정 개선 공정 그룹이 포함되며 이러한 공정을 통해 조직은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공정, 제품, 재사용 가능한 리소스 자산을 개발하여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
Supporting Lifecycle Processes
문서화, 검증, 공동 검토, 변경 관리 등의 공정이 포함되며 이러한 공정은 제품 라이프사이클 전반의 다른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음
MF(Measurement Framework)
MF를 통해 평가자는 측정 가능한 공정 속성 또는 특성을 기반으로 평가 중인 각 종정에 대해서 역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평가자는 규정 준수를 확보할 때 고려사항은 아래와 같다.
-평가 대상공정에 대해 사용 가능한 작업 산출물 및 저장 콘텐츠-공정 수행자 및 관리자의 증언
공정 달성 등급은 N, P, L, F 총 4개로 아래 표를 참조하자.
PAM(Process Assessment Model)
자동차 산업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효과와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일련의 지침 및 기준으로 조직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성숙도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며 Level0부터 Level5까지 기능 수준을 정의한다. 또한 조직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기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프로세스 영역을 정의한다.
Level 0 – Basic
기껏해야 "부분적으로" ASPICE 요구 사항을 달성할 수 있으며 더 높은 표준을 충족하는 것보다 기본 작업 관리에 더 집중해야 함
Level 1 – Performed
표준 요구 사항을 거의 또는 완전히 제공할 수 있지만 프로세스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
Level 2 – Managed
작업 산출물을 안정적으로 제공하고 작업 산출물 외에 ASPICE 표준을 거의 또는 완전히 달성할 수 있음
Level 3 – Established
조직의 성과 기준을 설정하고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학습
Level 4 – Predictable
성과 표준을 수립하고 충족하는 것 외에도 결과를 측정, 기록 및 분석하여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함
Level 5 – Innovating
성능 표준을 달성 및 분석하여 정량적 피드백 및 인과 관계 분석 해결 방법을 얻고 지속적인 개선에 투자
이렇게 ASPICE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이렇게 알아본 이유는 근래들어 ISO26262와 ASPICE가 뭔지도 모르고 요즘 회사에서 인증작업을 진행하고 있어서 개인적으로 알아볼 시간이 필요했다. ASPICE와 ISO26262 인증을 받기 위해 회사에서 컨설팅을 받는데 업무가 많이 밀려있어서 다른 업무를 하느라 컨설팅 내용을 잘 듣지 못하였다.
미팅시간이나 컨설팅을 받을 때는 다른 업무를 하면 안되는걸 알고 있지만 업무가 많이 밀려있어서 어쩔 수 없었다....
(그래서 결국 이렇게 집에서 혼자 이것저것 찾아보고 있지 아니한가...)
하지만 미미한 자료이지만 이렇게 자료를 찾아보면서 나만의 공간에 자료를 정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도 되었던 것 같기도 하다. 오늘을 끝으로 업무가 많더라도 미팅이나 컨설팅받을 때는 다른 업무 하는 것은 자제해야겠다...
(그럼 나는 10시에 퇴근하겠지...ㅠㅠ)
참고 자료
https://kr.mathworks.com/discovery/automotive-spice.html
https://visuresolutions.com/ko/blog/automotive/aspice/
https://ji-se.tistory.com/entry/ASPICE-%EA%B0%9C%EC%9A%94
'Automot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OC, Secure Onboard Communication 이란? (0) | 2024.05.26 |
---|---|
SHE, Secure Hardware Extension 이란? (0) | 2024.05.25 |
자동차 기능안전, ISO26262와 ASIL (0) | 2024.05.17 |
기능 안전의 시작과 파생, ISO/IEC Guide 51 (0) | 2024.05.17 |